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인라인핸들러
- react
- ...$$restProps
- onDestory
- docker-network
- nestjs
- :=
- go
- 도커
- smui
- Svelte LifeCycle
- JavaScript
- TypeScript
- 번역
- testing
- apiTest
- GIT
- reactjs
- IAC
- 도커컨테이너
- githook
- docker
- mock
- bitwiseNot
- cron
- golang
- Terraform
- PostgreSQL
- GraphQL
- svelte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:= (1)
Den`s blog

Go 에서 변수를 생성/할당하는데는 익히 알고 있듯 2가지 방법이 있다. := 와 = 를 활용하는 것인데, 검색하면 쉽게 나오는 두 방식의 차이에 대해서 먼저 간단하게 설명해보면 아래와 같다. 1. = var a int = 5 var 키워드로 변수임을 알려주고, 변수명을 작성하고, 타입을 작성한 뒤, 선택에 따라서 값을 할당해주면 된다. 2. := a := 5 1번의 예제와 동일한 효과를 짧게 내는 구문이다. := 의 공식 명칭은 short assignment stament 이다. 그런데, 2번에는 원래 재할당이 되지 않는다. 재할당을 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에러를 보게 될 것이다. := 의 왼쪽이 새 변수가 아니라는 뜻이다. 이 말인즉슨, 이미 선언된 변수에는 사용이 불가하다는 것인데, 2개, 3개..
GoLang
2022. 3. 2. 19:4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