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GraphQL
- IAC
- 도커
- githook
- 번역
- :=
- PostgreSQL
- go
- cron
- svelte
- smui
- onDestory
- 인라인핸들러
- nestjs
- Terraform
- testing
- reactjs
- docker-network
- apiTest
- golang
- Svelte LifeCycle
- 도커컨테이너
- GIT
- TypeScript
- JavaScript
- mock
- ...$$restProps
- bitwiseNot
- react
- docker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fork (1)
Den`s blog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udUD/btrbGBQR2Zn/iYyGYuszm2hCCHm4aKVwCK/img.png)
오픈소스에 기여하기 위해서라던지, Github Organization에 들어가서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해당 작업물을 내 저장소로 가져와서 작업을 한 후에 원 저장소에 내 코드가 추가되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을 것이다. 이 글은 그런 Need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성하게 되었다. 회사에서 개발파트를 리딩하다보면 스터디를 진행하거나,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할 때가 생기는데, 이럴때 쉽게 알려주기 위해서도 있다. 이 글에서 쓰는 용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 원저장소 : 오픈 소스 혹은 Github Organization 에 있는 내가 기여하고 싶어하는 저장소 내저장소 : 원저장소를 Fork 한 내 저장소 1. 원저장소에서 내저장소로 Fork 하기 Fork 란? 저장소를 복제한다는 개념이다. 단어에..
Git
2021. 8. 10. 22:02